|
@@ -29,7 +29,7 @@ Defold는 에셋이 사용되는 방식을 추적하여 효과적으로 리펙
|
|
|
|
|
|
에러중에 일부는 당신이 에셋을 열어 수정했을 때 Defold가 즉시 에러항목을 표시되기도 하지만, 프로젝트뷰의 에러마크는 컴파일러가 실행될때에만 표시됩니다.
|
|
|
|
|
|
-만약 외부 에디터(OS X의 Finder나 Windows의 Explorer나 Shell같은)로 파일의 이름을 바꾸거나 이동시킨다면 자동 리펙토링 메커니즘은 동작하지 않을 것입니다. Defold 에디터 외부에서 파일 작업을 한다면 에셋과 연결된 참조가 깨질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 바랍니다.
|
|
|
+만약 외부 에디터(macOS의 Finder나 Windows의 Explorer나 Shell같은)로 파일의 이름을 바꾸거나 이동시킨다면 자동 리펙토링 메커니즘은 동작하지 않을 것입니다. Defold 에디터 외부에서 파일 작업을 한다면 에셋과 연결된 참조가 깨질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 바랍니다.
|
|
|
|
|
|
## Collaboration
|
|
|
Defold는 강력한 협업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여러 팀의 멤버들은 같은 컨텐츠를 거의 마찰 없이 병렬적으로 작업 할 수 있습니다. Defold는 분산 협업 도구인 Git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Git은 광범위한 작업흐름도 다룰 수 있는 아주 강력한 도구입니다. Defold는 이 기능을 사용하여 간단하고도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
@@ -137,7 +137,7 @@ Git 명령줄 도구에서는 에디터의 도움없이 수동적으로 명령
|
|
|
## Line endings and Windows(줄바꿈과 윈도우)
|
|
|
당신의 컴퓨터에서 텍스트 파일을 편집중에 **Return**키를 누르면, 보이지 않는 문자 시퀀스가 줄의 맨끝에 삽입됩니다. 다른 운영체제에서는 역사적인 이유로 인해 다른 시퀀스가 사용됩니다. 가장 일반적인 내용으로는...
|
|
|
|
|
|
-#### Unix and Mac OS X
|
|
|
+#### Unix and macOS
|
|
|
단일 Line Feed 문자 (LF, "\n", 0x0A 또는 십진수의 10)
|
|
|
#### Windows
|
|
|
Carriage Return 문자 다음으로 Line Feed 문자 (CR+LF, "\r\n", 0x0D0A)
|
|
@@ -150,7 +150,7 @@ Carriage Return 문자 다음으로 Line Feed 문자 (CR+LF, "\r\n", 0x0D0A)
|
|
|
|
|
|
한 팀원이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별도의 외부 툴로 Lua 스크립트를 편집하여 윈도우용 개행문자를 사용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후에 그 팀원은 Defold Lua 에디터로 그 스크립트 파일을 열어봤지만 눈으로 보기엔 별 문제가 없어 보여 즉시 서버 레포지토리로 변경사항을 동기화 시킵니다.
|
|
|
|
|
|
-한편, Mac OS X를 사용중인 다른 팀원이 동일한 파일을 열어 편집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두 팀원간의 변경작업이 완료되면 스크립트 파일의 동일하지 않은 부분만 Git이 자동적으로 충돌을 해결하고 병합하는게 보통입니다. 하지만 두번째 팀원이 동기화 작업후 Defold가 충돌을 감지하고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비교창을 띄워보면, 모든 줄마다 충돌에 대한 하이라이트가 표시되게 됩니다:
|
|
|
+한편, macOS를 사용중인 다른 팀원이 동일한 파일을 열어 편집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두 팀원간의 변경작업이 완료되면 스크립트 파일의 동일하지 않은 부분만 Git이 자동적으로 충돌을 해결하고 병합하는게 보통입니다. 하지만 두번째 팀원이 동기화 작업후 Defold가 충돌을 감지하고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비교창을 띄워보면, 모든 줄마다 충돌에 대한 하이라이트가 표시되게 됩니다:
|
|
|
|
|
|

|
|
|
|
|
@@ -171,7 +171,7 @@ Defold는 개행문자를 볼 수 있거나 변경할 수 있는 도구를 내
|
|
|
Git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줄바꿈을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
|
|
|
|
|
$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input
|
|
|
- # OS X에서 줄바꿈을 제대로 하기 위해 Git 설정하기
|
|
|
+ # macOS에서 줄바꿈을 제대로 하기 위해 Git 설정하기
|
|
|
|
|
|
전역 Git 설정인 core.autocrlf는 파라미터를 한 개 가지는데:
|
|
|
|
|
@@ -182,7 +182,7 @@ Git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줄바꿈을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
|
|
|
Git은 모든 텍스트 파일들을 처리합니다. 작업 디렉토리에 쓰여질 때 모든 **LF** 개행문자를 **CR+LF**로 바꾸고 다시 레포지토리로 체크인 할때는 **LF**로 되돌려 줍니다. 이 셋팅은 Windows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
|
|
|
|
|
##### input
|
|
|
-Git은 모든 텍스트 파일들을 처리합니다. 레포지토리로 체크인 할 때 모든 **CR+LF**를 **LF** 개행문자로 바꿔주며 체크아웃할때는 파일을 건드리지 않습니다. 이 셋팅은 Unix나 OS X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
|
|
+Git은 모든 텍스트 파일들을 처리합니다. 레포지토리로 체크인 할 때 모든 **CR+LF**를 **LF** 개행문자로 바꿔주며 체크아웃할때는 파일을 건드리지 않습니다. 이 셋팅은 Unix나 macOS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
|
|
|
|
|
레포지토리에 ".gitattributes" 파일을 생성하여 Git이 줄바꿈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더 세밀하게 제어할 수도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