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1,8 +31,8 @@
|
|
|
[page:Constant CubeReflectionMapping]은 [page:CubeTexture CubeTexture]의 기본값입니다. <br /><br />
|
|
|
|
|
|
[page:Constant EquirectangularReflectionMapping] 및 [page:Constant EquirectangularRefractionMapping]은
|
|
|
- 등장방향형도법 환경 맵과 함께 사용됩니다. 맵으로도 불리며, 등장방향형도법 텍스쳐는
|
|
|
- 수평 중심선을 따라 360도 시야를 나타내고 수직 축을 따라 180도 시야를 나타내며
|
|
|
+ 등장방향형도법 환경 맵과 함께 사용됩니다. 맵으로도 불리며, 등장방향형도법 텍스쳐는
|
|
|
+ 수평 중심선을 따라 360도 시야를 나타내고 수직 축을 따라 180도 시야를 나타내며
|
|
|
이미지의 상단과 하단 가장자리는 맵핑된 구의 북극과 남극에 해당합니다.<br /><br />
|
|
|
|
|
|
[example:webgl_materials_envmaps materials / envmaps] 예제를 참고하세요.
|
|
@@ -63,17 +63,17 @@
|
|
|
</code>
|
|
|
|
|
|
<p>
|
|
|
- 텍스쳐의 [page:Texture.magFilter magFilter] 프로퍼티와 함께 사용되며,
|
|
|
- 텍스처의 픽셀이 하나의 텍스처 요소(texel)보다 작거나 같은 영역에 매핑될 때
|
|
|
+ 텍스쳐의 [page:Texture.magFilter magFilter] 프로퍼티와 함께 사용되며,
|
|
|
+ 텍스처의 픽셀이 하나의 텍스처 요소(texel)보다 작거나 같은 영역에 매핑될 때
|
|
|
사용할 텍스처 확대 함수를 정의합니다.
|
|
|
<br /><br />
|
|
|
|
|
|
[page:constant NearestFilter]는 특정 텍스쳐 좌표와 가장 가까운(맨해튼 거리 단위로) 텍스쳐 요소의 값을 리턴합니다.
|
|
|
<br /><br />
|
|
|
|
|
|
- [page:constant LinearFilter]이 기본값이며 지정된 텍스쳐 좌표에 가장 가까운 네 가지 텍스쳐 요소의 가중 평균을 리턴하며,
|
|
|
+ [page:constant LinearFilter]이 기본값이며 지정된 텍스쳐 좌표에 가장 가까운 네 가지 텍스쳐 요소의 가중 평균을 리턴하며,
|
|
|
[page:Texture.wrapS wrapS] 및 [page:Texture.wrapT wrapT]의 값과 정확한 맵핑에 따라 텍스처의 다른 부분에서 랩핑되거나 반복된 항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p>
|
|
|
|
|
|
<h2>축소 필터</h2>
|
|
@@ -87,28 +87,28 @@
|
|
|
</code>
|
|
|
|
|
|
<p>
|
|
|
- 텍스쳐의 [page:Texture.minFilter minFilter] 프로퍼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
|
|
- 텍스처의 픽셀이 하나의 텍스처 요소(texel)보다 큰 영역에 매핑될 때
|
|
|
+ 텍스쳐의 [page:Texture.minFilter minFilter] 프로퍼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
|
|
+ 텍스처의 픽셀이 하나의 텍스처 요소(texel)보다 큰 영역에 매핑될 때
|
|
|
사용할 텍스처 축소 함수를 정의합니다.<br /><br />
|
|
|
|
|
|
[page:constant NearestFilter] 및 [page:constant LinearFilter]와 함께,
|
|
|
아래 네 가지의 함수는 축소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br /><br />
|
|
|
|
|
|
- [page:constant NearestMipmapNearestFilter]는
|
|
|
- 텍스처링되는 픽셀의 크기와 가장 근접한 mipmap을 선택하고
|
|
|
+ [page:constant NearestMipmapNearestFilter]는
|
|
|
+ 텍스처링되는 픽셀의 크기와 가장 근접한 mipmap을 선택하고
|
|
|
[page:constant NearestFilter] 기준(픽셀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texel)을 사용하여 텍스쳐 값을 생성합니다.
|
|
|
<br /><br />
|
|
|
|
|
|
- [page:constant NearestMipmapLinearFilter]는 텍스처링되는 픽셀 크기와 가장 근접한 두 개의 mipmap을 선택하고
|
|
|
+ [page:constant NearestMipmapLinearFilter]는 텍스처링되는 픽셀 크기와 가장 근접한 두 개의 mipmap을 선택하고
|
|
|
[page:constant NearstFilter] 기준을 사용하여 각 mipmap에서 텍스쳐 값을 생성합니다. 최종 텍스쳐 값은 이 두 값의 가중 평균입니다.
|
|
|
<br /><br />
|
|
|
|
|
|
- [page:constant LinearMipmapNearestFilter]는 텍스쳐링되는 픽셀 크기와 가장 근접한 mipmap을 선택하고
|
|
|
+ [page:constant LinearMipmapNearestFilter]는 텍스쳐링되는 픽셀 크기와 가장 근접한 mipmap을 선택하고
|
|
|
[page:constant LineFilter] 기준(픽셀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4개의 texel의 가중 평균)을 사용하여 텍스쳐 값을 생성합니다.
|
|
|
<br /><br />
|
|
|
|
|
|
- [page:constant LinearMipmapLinearFilter]가 기본값이며 텍스처링되는 픽셀 크기와 가장 일치하는 두 개의 mipmap을 선택하고
|
|
|
- [page:constant LinearFilter] 기준을 사용하여 각 mipmap에서 텍스처 값을 생성합니다.
|
|
|
+ [page:constant LinearMipmapLinearFilter]가 기본값이며 텍스처링되는 픽셀 크기와 가장 일치하는 두 개의 mipmap을 선택하고
|
|
|
+ [page:constant LinearFilter] 기준을 사용하여 각 mipmap에서 텍스처 값을 생성합니다.
|
|
|
최종 텍스처 값은 이 두 값의 가중 평균입니다.<br /><br />
|
|
|
|
|
|
[example:webgl_materials_texture_filters materials / texture / filters] 예제를 참고하세요.
|
|
@@ -188,7 +188,7 @@
|
|
|
<br /><br />
|
|
|
|
|
|
[page:constant LuminanceFormat]은 각 요소(element)를 단일 휘도 요소(component)로 읽어들입니다.
|
|
|
- 그 다음에 부동 소수점으로 변환되어 [0,1] 범위에 고정한 다음
|
|
|
+ 그 다음에 부동 소수점으로 변환되어 [0,1] 범위에 고정한 다음
|
|
|
휘도 값을 적색, 녹색 및 청색 채널에 배치하고 1.0을 알파 채널에 할당하여 RGBA 요소로 조립합니다.<br /><br />
|
|
|
|
|
|
[page:constant LuminanceAlphaFormat]은 각 요소(element)를 휘도/알파 소수로 읽어들입니다.
|
|
@@ -541,11 +541,11 @@
|
|
|
|
|
|
[page:Texture.format format], [page:Texture.internalFormat internalFormat],
|
|
|
및 [page:Texture.type type]과의 조합과 관련된 세부 내용에 관해서는
|
|
|
- [link:https://developer.mozilla.org/en/docs/Web/API/WebGLRenderingContext/texImage2D WebGLRenderingContext.texImage2D],
|
|
|
+ [link:https://developer.mozilla.org/en/docs/Web/API/WebGLRenderingContext/texImage2D WebGLRenderingContext.texImage2D],
|
|
|
[link: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WebGL2RenderingContext/texImage3D WebGL2RenderingContext.texImage3D]를 참고하세요.<br /><br />
|
|
|
|
|
|
- 내부 포맷과 관련된 심화 정보에 대해서는 직접
|
|
|
- [link:https://www.khronos.org/registry/webgl/specs/latest/2.0/ WebGL2 Specification] 및
|
|
|
+ 내부 포맷과 관련된 심화 정보에 대해서는 직접
|
|
|
+ [link:https://www.khronos.org/registry/webgl/specs/latest/2.0/ WebGL2 Specification] 및
|
|
|
[link:https://www.khronos.org/registry/OpenGL/specs/es/3.0/es_spec_3.0.pdf OpenGL ES 3.0 Specification]를 확인해보세요.
|
|
|
</p>
|
|
|
|
|
@@ -556,8 +556,6 @@
|
|
|
THREE.GammaEncoding
|
|
|
THREE.RGBEEncoding
|
|
|
THREE.LogLuvEncoding
|
|
|
- THREE.RGBM7Encoding
|
|
|
- THREE.RGBM16Encoding
|
|
|
THREE.RGBDEncoding
|
|
|
THREE.BasicDepthPacking
|
|
|
THREE.RGBADepthPacking
|